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

FIRE 도전기_더 나은 내일을 위한 주식공부 #7 (2022.05.06)_기술적분석방법 중급편

by 우이크 2022. 5. 7.
반응형

FIRE 도전기_더 나은 내일을 위한 주식공부 #7 (2022.05.06)_기술적분석방법 중급편

 

안녕하세요! 

 

우이크입니다~!

 

오늘은 기술적분석방법 2편!!

 

조금 더 업그레이드 된 내용으로 공부해보겠습니다.!

 

 

① 봉

 복습) 봉의 색이 빨간색(양봉)이면 시가보다 주가가 상승해서 마감한 것이고 파란색(음봉)이면 시가보다 주가가 하락한           것이다.

 

- 빨간색의 봉이 크면 클수록 시가보다 주가가 크게 상승한 것이다.  매수자가 높은 가격임에도 더 높은 가격에 매수했다는 의미.

- 파란색의 봉이 크면 낮은 가격에라도 주식을 매도할려고 한 것이다.

- 이때 큰 양봉과 큰 음봉이 형성되는 날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면 신뢰도가 더 높아진다.

- 큰 양봉이면서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.

- 큰 양봉이지만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면 강력한 매수 주체에 의해 상승한 것이 아니라 가격변동성 때문이다.

- 적은 거래량으로 음봉 하락했다면 외부 충격으로 인한 일시적 하락으로 판단한다.(조정)

 

② 거래량

 복습) 거래량은 매수와 매도 주체가 서로 공방을 벌이면서 사고 팔았다는 뜻이다.

 

- 매수 및 매도 주체가 공방을 벌여 어느 한쪽으로 힘이 기울면 양봉이나 음봉이 발생하며, 힘이 한쪽으로 기울어졌기 때문에 이후에도 그쪽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 판단한다.

- 거래량이 많이 발생할 경우 세력주의 진입 가능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.

- 거래량이 현저히 감소했다는 것은 매수자, 매도자 서로 관망했다는 뜻이다.

 

③ 이동평균선

 복습) 이동평균선은 최근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 의미한다.

 

- 이동평균선이 우상향 하면서 상승하고 있다면 그 주식은 상승추세이다.

- 이동평균선이 우하향 하면서 하락하고 있다면 그 주식은 하락추세이다.

- 상승추세일 때는 5일 이동평균선이 맨 위에 있고 다음에 20일과 60일 이동평균선이 놓인다. 이것을 '정배열 상태'라 한다.

- 하락추세일 때는 5일 이동평균선부터 급락하기 때문에 반대 배열이 나타난다. 이것을 '역배열 상태'라 한다.

- 이동평균선간의 간격을 '이격'이라 한다.

- 이격이 위로 급격히 벌어지면 단기 급등으로 보고 매도 판단으로 해석하고 반대로 아래로 이격이 크게 벌어지면 단기 급락으로 보고 매수 판단으로 해석한다.

- 차트에서 봉이 5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일시적으로 내려오는 것을 '눌림목 조정 하락'이라 한다.

 

 

오늘은

 

기술적분석방법에 대해 조금 더 알아봤습니다.

 

기술적 분석방법을 익혀둔다면

 

차트를 이해하는데

 

훨씬 도움이 될 꺼 같습니다.

 

그럼 오늘은 여기까지~!

 

코코뿅~! 

 

 

※ 본 글은 박병찬부장님 저서 '주식투자 기본도 모르고 할 뻔했다'를 일부 참고하였습니다.

 

 

반응형

댓글